개발 상식 및 언어 1
변수 Variable : 변하는 수
상수 Constant : 항상 같은 수
리터럴 : 변수 와 상수라는 공간에 저장되는 값
- 리터럴은 메모리 어딘가에 값이 변하지 않도록 저장되어있다
- 즉, 컴파일 시 프로그램 내에 정의되어있는 그대로 정확히 해석되어야 할 값을 의미한다.
파싱
- 어떤 데이터를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내는 것
- 사용자가 입력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과정
자바스크립트 엔진 :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해석하기 위한 것 브라우저마다 다르다
크롬은 V8
Node.JS :자바스크립트를 런타임이다.
Node.js 의 API는 모두 비동기식이다. None-Blocking 멈추지않는다
API를 실행하고 완료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API가 실행됩니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쉽게설명
프레임워크 : 차, 비행기, 배 (탈 것)
사람이 타서 엔진 켜고, 기아 넣고, 핸들 돌리고 직접 해줘야합니다.
라이브러리 : 톱, 망치, 삽 (연장)
사람이 들고 썰고, 바꿔들고 내려치고, 다시 바꿔들고 땅일 파는 것이다.
도구를 쓸 때, 급하면 썰어야 할 곳에 망치를 쳐도 된다. 땅을 파야할 때 톱으로 긁어내도 된다.
사람은 도구를 선택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어떤 도구를 사용하든 원하는 것을 만들어 낼 수만 있으면 된다.
반면에, 탈것은 정해진 곳으로만 다녀야합니다. 차가 하늘을 난다? 배가 땅을 간다?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목적에 맞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톱이나 망치를 들고 탈것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정해진 규칙에 맞춰서 엔진, 기어 ,핸들만 잘 돌리면 됩니다.
패킷: 네트워크에서 한번에 전송하는 정보의 단위
3~4계층 데이터 단위 패킷이라 정의
1~2계층 데이터 단위 프레임이라고 지칭
라우팅 : 데이터를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목적지까지 이송하는 모든 절차
서울에서 인천까지 여러 가지 경로가 존재한다. 이 많은 경로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하는 것을 라우팅 이라고 한다.
해당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하며 그정보에 따라 패킷을 전달한다.
그래서 라우터들은 목적지에 대한 경로 정보를 이웃 라우터들과 공유하게 된다.
이 때 교환하는 것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프리터 VS 컴파일러 (0) | 2021.06.08 |
---|---|
Visual Studio Code : 터미널 -> 디버그 콘솔 (1) | 2021.04.16 |
동기(Synchronous) VS 비동기(Asynchronous) (0) | 2021.01.29 |
순차적, 절차적,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0) | 2021.01.25 |
ASP 기본 문법 (0) | 2021.01.22 |